티스토리 뷰
728x90
생성자가 2개 이상일 경우,
하나의 주생성자를 지정하고 주생성자에서만 초기화를 진행하고, 그 외의 부생성자에서는 주생성자를 호출하는 방식이 추천된다고 한다.
✅ 이렇게 생성자에서 또 다른 생성자를 호출하는 방식을 생성자 체인 기법(Constructor Chainning)이라고 한다. (생성자 체인 기법 참고 블로그)
✅ 주생성자는 모든 부생성자 뒤에 위치시키는 것이 유지보수측면에서 좋다.
before
public Car(final String name) {
this.name = name;
position = 0;
}
public Car(final String name, final int position) {
this.name = name;
this.position = position;
}
after
Car클래스의 Car(final String name, final int position)을 주생성자로 정하고 Car(final String name)에서 주생성자를 호출하는 방식으로 변경하였다.
public Car(final String name) {
this(name, 0);
}
public Car(final String name, final int position) {
this.name = name;
this.position = position;
}
Ref.
https://jackjeong.tistory.com/148
https://skyblue300a.tistory.com/6
728x90
'Backend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일성(Identity) vs. 동등성(Equality) (feat. equals(), hashCode()) (0) | 2022.02.25 |
---|---|
Null vs. Empty vs. Blank (feat. isEmpty, isBlank) (2) | 2022.02.18 |
Random vs. ThreadLocalRandom (2) | 2022.02.17 |
@SupperessWarning의 쓰임을 알고 사용하자 (0) | 2022.02.14 |
[우아한테크코스/프리코스] 2주차 백엔드 피드백 (0) | 2021.12.08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