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2022년 1월 4일 이제 재테크를 좀 시작해봐야겠다는 생각에 통장을 확인해볼 겸 오랜만에 들어갔더니 Amazon에서 1.3만원이 빠져나간게 보였다.

뭔가 큰 돈은 아니었지만 생각지 못했던 상황이라 좀 당황스러웠다..ㅜ

 

이러지마세요ㅠㅠ

 

일단 어디서 청구가 되었는지 확인해봐야하기 때문에 AWS에 접속해 청구서를 확인해보았다. 

다음과 같이 청구서에서 월별로 얼마가 청구되었는 지 확인할 수 있다. 

 

 

아래 세부 정보 탭에서 대체 어떤 곳에서 돈이 새고 있는 지 확인할 수 있다.

 

보면은 Lightsail에서 대부분 청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EC2에서도 대략 천원정도 청구되었다. 

Lightsail의 경우 3개월의 프리티어 기간이 종료되었기에 이해할 수 있었지만 EC2의 경우 10개월 정도의 프리티어 기간이 남아있는걸로 알고있었기에 의문이 들었다. 

 

진짜 라이트세일.. 하..

 

Lightsail 인스턴스 삭제/종료/Delete

보면 인스턴스의 상태가 Stopped(중지)된 상태이다.

Stopped(중지)는 Delete(삭제)와 다르다는 것을 명심하자. 나는 두 상태가 다르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중지해놓기만 해도 요금이 청구되지 않을 것이라고 착각하고 있었다. 무조건 인스턴스를 삭제해주어야 요금이 청구되지 않는다고 한다. 꼭!!! 주의하자!!! 🌟

 

전혀 굿모닝하지 않은 상황이다.

 

삭제 과정

 

 

삭제 확인

 

EC2 인스턴스 삭제/중지/Delete

마찬가지로 EC2에서도 돈이 새어나갔기에 여기서도 인스턴스를 삭제하기로 마음 먹었다.

1년은 프리티어로 사용 가능한 줄 알았는데 무슨 일인걸까??

 

인스턴스 리스트

 

삭제 과정

 

일단 인스턴스 상태가 종료됨으로 바뀌었지만 진짜 제거된 건지 확신이 안선다.

좀 시간이 지난 후 다시 확인해봐야겠다. → 2022년 1월 28일 삭제 확인 완료!!

 

삭제가 된걸까..?

 

EC2 이미지(AMI) 삭제/Delete

혹시 몰라 EC2 이미지까지 삭제를 진행했다. 

(이전에 오하이오 리전의 인스턴스를 서울 리전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미지를 생성했었다.)

 

이미지 리스트

 

삭제 과정

 

삭제 확인

 

과연 해결에 성공했을까?

아래는 2022년 1월 5일 기준 청구 금액으로 이제 여기서 금액이 증가하면 안 된다. 

만약 추후에 확인 후 증가되는 모습을 보인다면 아예 계정 삭제까지 진행해야할 것 같다... 이눔에 AWS...

 

2022년 1월 5일 기준 청구 금액

 


역시 AWS는 쉽지않긔..

그 동안 신경을 안 쓰고 있다가 오늘 2022년 1월 28일 다시 AWS에 접속해 청구 금액을 확인해보았다. 

다음과 같이 청구 금액이 $1.27에서 $1.99로 증가하였으며 예측된 월말 비용은 더 증가한 $2.10인 것을 알 수 있다... 실패...

 

2022년 1월 28일 기준 청구 금액

 

어디서 또 청구가 됐는지 확인 해보니 모든 인스턴스와 이미지를 삭제했던 1월 5일 이후로는 EC2-기타 부분에서만 소량의 금액이 지속적으로 누적되고 있는 모습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서비스로 분류

 

라이트세일의 경우 잘 해결되었지만 EC2의 경우 더 삭제해줘야하는 부분이 있는 것같아 리전과 사용자 유형으로 분류를 변경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오하이오와 서울 리전에 만들어놨었던 인스턴스들의 스냅샷 사용에 대한 비용이 지속적으로 청구되고 있었던 것이었다. 

 

리전으로 분류
사용량 유형으로 분류

 

스냅샷 삭제

스냅샷 탭을 확인해보니 다음과 같이 각각 8GB 크기의 스냅샷이 저장되어있었다. 

지금까지 계속 스냅샷을 저장해놓고 있었기에 이 저장공간을 쓰는 것에 대한 비용이 청구되고 있었던 것이다...ㅜㅜ 

 

서울 리전의 스냅샷
오하이오 리전의 스냅샷

 

서울 리전의 스냅샷의 경우 잘 삭제가 되었는데 오하이오 리전의 스냅샷을 삭제하려고 하니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말 그대로 이미지(AMI)에서 이 스냅샷을 사용하고 있으니 삭제가 불가능하다는 의미이다.

서울 리전에만 이미지를 만들어 놓은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오하이오 리전에도 이미지를 만들어놨었나보다. 

해당 이미지를 등록 취소한 후 스냅샷 삭제를 하면 해결되는 문제이다.

 

이제 정말 AWS 내에서 사용 중이었던 모든 데이터를 삭제했다.. 더 이상 비용이 청구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728x90

'Backend > Inf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락] EC2에서 스왑 메모리(Swap Memory) 설정하기  (1) 2022.08.26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