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bject Oriented Programming, OOP) 📁 객체(Object) ✔️ 숫자에서 함수까지 파이썬의 모든 것은 객체다. num = 7을 입력했을 때 7이 담긴 정수 유형의 객체를 생성하고 객체 참조(object reference)를 num에 할당한다. ✔️ 객체는 데이터(변수, 속성)와 코드(함수, 메서드)를 포함하는 커스텀 자료구조이다. 함수 : 객체 외의 코드 뭉치 메서드 : 클래스 안의 멤버 외의 코드 뭉치 ✔️ 객체는 구체적인 어떤 것의 유일한 인스턴스(instance)를 가리킨다. ✔️ 객체는 정의된 클래스를 통해 생성된다. 객체 != 클래스 📁 클래스(Class) ✔️ 객체의 틀을 나타낸다. class Cat: pass ✔️ Cat()은 Cat 클래스로..

파이썬에서의 함수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 파이썬에서 함수는 일급 객체(First-class Object)로 불린다. C언어에서는 포인터가 일급 객체로 불린다. 함수의 인자로 함수를 넣을 수 있다. def answer(): print(42) def run_something(func): func() run_something(answer) # answer 함수 객체를 넘긴다. run_something(answer()) # answer 함수의 반환값을 넘긴다. (None) 함수의 인자로 함수, 그 함수의 인자까지 넣을 수 있다. def add_args(arg1, arg2): print(arg1 + arg2) def run_something_with_args(func, arg1, arg2): func(arg..